728x90

  <당선작>

  가방 / 오정순

끼워 넣을 내가 많아 어제보다 무거워요

하루가 흔들리며 어깨를 짓누르는데

거품만 빼면 될까요 나, 라는 무게에서

한쪽으로 쏠리는 기울기를 읽지 못해

때로 실밥 터지고 걸음 뒤뚱거려도

넣지도 빼지도 못해요 나, 라는 이력서

비구름 몰려 있는 귀퉁이 우산 한 개

바닥을 탈탈 털어 잿빛 날들 고백할까요

마음껏 펼치고 싶어요 나, 라는 햇살 목록


  <당선소감>

   "현실에서 건져 올린, 삶의 냄새 짙은 시조를 쓰겠다"



  소설 ‘사랑’의 여주인공 석순옥을 사랑한 아버지는 딸을 낳으면 ‘죽순 순(筍)’자를 이름 끝 자에 넣겠다는 약속을 지켜 아예 나를 ‘순아’라고 불렀다. 나는 그 이름이 싫었다. 다행히 나와 이름이 같은 문인이 여러 분 계셔서 필명을 가질 수 있었다. 구순 아버지는 내가 본명으로 돌아가길 원한다. 늙은 아버지의 한마디는 여전히 내게 힘찬 함성으로 들린다. 헌신적이며 지고지순한 삶은 이룰 수 없는 꿈이지만, 가쁜 호흡과 통증뿐인 아버지는 내게 현실이다. 현실을 직시하는 것이 좀더 아버지를 사랑하는 길이고 내 이름을 불러준 시조에 대한 보답이기도 하다.

  내가 처음 만난 시조는 자수를 꿰맞추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번번이 좌절만 거듭하던 어느 날, 내 시조에서 체온과 박동이 느껴졌다. 비록 희미했지만, 분명히 살아 있었다.

  이제 겨우 초입에 섰을 뿐이다. 그러나 길을 잃지 않겠다. 현실에서 건져 올린, 삶의 냄새가 짙은 시조를 쓰도록 부단히 노력하겠다.

  내 편인 남편과 두 아들 대식, 윤식, 그리고 올봄 선물처럼 온 며느리 지영, 지금껏 소녀의 감성을 간직한 엄마, 선수필 문우들, 두목회 덕희, 수정. 고맙습니다. 최명헌 시인과의 인연도 참 소중합니다. 박해성 시인님, 시조를 향한 갈증을 풀기 위해 시인님 블로그에 수시로 들락거리던 목련이 저였습니다. 마음껏 들이켜라고 열어 놓은 우물의 깊이는 헤아리지 못하고 마당만 어지럽혔습니다. 이근배, 이송희 두 분 심사위원님과 서울신문사에 감사드립니다. 매우 두렵지만 치열한 글쓰기로 이겨내겠습니다.

  ● 필명 오서윤 
  ● 1958년 대구 출생 
  ● 국민대 가정관리과 졸업 
  ● 2011년 천강문학상 수상 
  ● 2013년 평화신문, 2014년 경남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 
  ● 2014년 10월 중앙시조백일장 장원, 2017년 1월 차하


  <심사평>

  "청춘들의 고단함 형상화… 시조의 현대성 구현해 주기를

  시의 새로움은 같은 대상을 보아도 남들과 다르게 인식하고 표현하는 데서 태어난다. 시는 자신만의 시선을 지니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발화할 수 있는, 발상과 표현의 신선함이 중요하다. 정형의 양식인 시조의 경우는 특히 더 새로운 관점과 특별한 발화의 방식을 요구한다. 달리 말하면 ‘감각의 실험’이라고 할 수 있으며 관습이나 기존 형식을 답습하지 않고 넘어서는 것을 말한다. 익숙한 대상과 상황에서 새로움을 찾는 것, 어제와는 다른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 시(시조)의 역할이고 의무가 아닐까. 그런 의미에서 올해 만난 응모작들은 참으로 반갑게 다가왔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가방’, ‘신新거석문화’, ‘둘이 사는 원룸’, ‘자작나무 설인’, ‘수요일 동백’ 등이다. 거듭된 논의 끝에 오정순씨의 ‘가방’을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하루가 흔들리며 어깨를 짓누르”고 “때로 실밥 터지고 걸음 뒤뚱거”리며 “바닥을 탈탈 털어 잿빛 날들 고백”하고자 하는 오늘날 청춘들의 고단한 정서가 정제된 언어로 형상화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끼워 넣을 내가 많아 어제보다 무거워요”나 “한쪽으로 쏠리는 기울기를 읽지 못해”, “비구름 몰려 있는 귀퉁이 우산 한 개”와 같은 시적 화자의 진술이 돋보였다. 또한 “나, 라는 무게에서”, “나, 라는 이력서”, “나, 라는 햇살 목록”으로 연결되는 종장의 흐름은 작품에 균형감을 부여하는 의도적 장치로 읽혔다.

  그러나 시대의 모순과 부조리를 담아내는 것만으로 시조의 역할이 완수되는 것은 아니다. 오랜 시간 시조라는 장르가 구축해 온 고유의 영역 위에 참신한 감각을 덧칠하고 소재의 확장을 지속해 가야 한다. 시조가 장르의 벽을 상쇄할 수 있는 잠재력은 여기에서 나온다. 긴장의 끈을 단단히 동여매고 시조의 현대성 구현을 위해 정진해 주기를 당부한다. 당선자에게는 축하를, 낙선자에겐 위로를 보내며, 시조 창작의 길에서 꼭 다시 만나길 바란다.

심사위원 : 이근배, 이송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