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그늘들의 초상

최호빈

외팔이 악사가 기타를 연주하는 하얀 레코드판 위로 한 아이가 돌면 걸음마다 붉은 장미가 피어난다 오선지에 적힌 외팔이의 과거를 한 페이지씩 뒤로 넘기면 검게 변해버리는 장미, 같은 자리를 다시 지날 때 멈추는 음악, 검은 장미의 정원 줄이 끊어진 듯 문은 닫히고 검은 레코드판 위로 한 줌의 꿈을 꾸었다고 고백하는 잿빛 음악이 무책임한 허공을 읽는다.

 

안전선 밖으로 물러나주십시오.

안내 방송이 끝나기 전 먼저 도착한 바람에 몸이 흔들린다

 

태어나자마자 걸친 인간의 가죽이 낯설어서 울면,

목에서 흘러나오는 짐승의 잡음을 따라 다른 영아들도 울었다

우는 자에게 위안은 더 우는 자를 보는 것 전생과 후생 사이를

감지하는 나의 두개골은 밀봉되기를 거부했고 뒤늦게 나타난 간호사가

기껏 흘린 피를 지워주었다 차지해야 할 자리를 잡지 못한

오감의 무중력 속 나는 갈라진 틈의 눈으로 울다가 낯선 요람에서

잠을 깨기도 했다

 

울음마저 피곤하게 느낄 때 내게 열리는 것

보일 듯 말 듯 소중해지는,

잘 보이지 않는 것들이 움직인다

 

기묘하게 균형을 유지하려는,

책상과 옷장과 침대가 말없이 싸운다

 

젖은 옷을 입은 채 나를 말리기 위해

회의적인 귀를 바닥에 대면

잠든 나에게 속삭이는 누가 있다

집으로 돌아가진 못한 소식들이

무언가에 부딪혀 움푹해진 순간으로 흘러든다

예전의 마른 상태로 돌아가는 소매

팔보다 긴 그림자를 흔드는 소매

 

나조차 없는 느낌의 눈 속엔 아무도 없는데

속삭임이 멈추지 않는다

지금 내 귓속엔 하루를 순환하는 입이 살고 있다


<
당선소감>


멋진 병, 현기증이 나에 대한 믿음 되살려

 

한 인간이 있었다. 그는 세상을 전부 이해하기 위해 한 인간에 만족하지 못하고 모든 인간이 되길 바랐다. 한때 내 몸은 그의 것이라 생각했다. 그래서 나는 모든 것에 반항하기 위해 오랫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았다. 나는 그의 영혼이 아니라 그의 죽은 몸을 닮고 있었다. 스무 살의 겨울, 몽마르트 언덕에서 길을 헤매던 중 한 묘지로 들어갔고 처음 본 공동묘지에 그를 내려놓았다. 파리의 지붕들을 뛰어다니던 그에겐 밟고 다닐 무덤들이 필요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의 빈자리가 말을 건넨다. “나는 침묵과 밤에 대해 썼고, 표현할 수 없는 것에 유의했다. 나는 현기증을 응시했다.”

얼마 전 흑백의, 내 머릿속 사진을 보았다. 한 번도 마주친 적 없는, 커다랗고 외로운 눈()이었다. 그 눈은 대답을 무한히 지연시키는 질문만을 내게 건네는 듯했다. 아무 문제 없다고 의사는 말했지만 그 이후로 나는 눕거나 일어날 때 어지럼증을 느낀다. 그것은 마치 내 안에 살았던 기억과 감정들이 깨어나면서 나에 대한 불신들 사이에 나를 믿게 만들 씨앗을 흩날리는 것 같았다. 살아있다. “멋진 병에 걸렸다. 다행이다.

아버지, 어머니에게 고마움과 건강히 오래 지켜봐주길 바라는 아들의 마음을 전한다. 시 쓰는 길을 열어주시고 큰 관심을 가져주신 최동호 선생님과 이라는 말로 격려해주신 선후배님께 감사드린다. 시 속에 숨어 있으려는 나를 밖으로 꺼내주신 멘토 권혁웅, 조연호 그리고 금요일의 선생님들과 친구들의 크고 달콤한 힘에 감사한다. 다른 내일을 열어주신 도종환, 박주택 선생님께도 감사드린다.

 

1979년 서울 출생 한국외국어대 불어과 졸업 고려대 대학원 국문과 석사과정 재학


<
심사평>

 

개성과 진실은 시를 계량하는 중요한 잣대

 

신춘문예는 말 그대로 새 봄의 문학이다. ‘새 봄의 문학은 혹한과 얼음을 이긴 새싹의 문학이자 꽃핌의 문학이다. 이는 오랜 탁마와 절치부심(切齒腐心)의 순간을 견디며, 개성적인 세계를 창조하려는 노력 끝에 찾아오는 문학이다. 이 점에서, 시를 구성하는 미적 형식과 내용을 직조하는 시선, 제재를 가공하는 세공술, 그리고 이를 각고로 새겨 돋우는 치열한 정신은 새 봄의 문학이 갖추어야 할 중요한 예술적 덕목들이다.

예심에서 올라온 시편 중에서 심사위원들의 주목을 끈 것은 시가 지니고 있는 본령을 견지하면서도 개성적 시각으로 삶의 진실을 드러낸 것들이었다. ‘개성진실은 시를 계량하는 중요한 잣대로 지금까지, 어떻게 썼는가보다는 앞으로, 어떻게 쓸 것인가에 대한 관심을 포함하고 있어 미래적이다.

당선작 그늘들의 초상은 대상과 세계를 해석하는 강한 추동력과 낮은 자의 고통을 존재의 장소에서 불러내는 동일자의 윤리를 보여준다. 함께 투고한 시편도 고르게 완성도가 높아 높은 점수를 받았다. 후보작 곰탕은 조곤조곤한 어조로 뼛속까지 곰삭은 그리움을 푹 고아내고 나면 눈꽃처럼 퍼지는 풍경소리를 들을 수 있으리라와 같이 세계를 긍정한다. 그러나 산문적 사변(思辨)이 골격을 이루고 있어 아쉬움을 남겼다. ‘로켓맨은 시적 형상화라는 측면에서 튼튼한 신뢰를 얻고 있지만 대상과의 간격이 지나치게 좁은 것이 흠이었다. ‘그 자작나무 숲으로는 참신하기는 하나 주제를 드러내는 데 인색했다.

모두에게 날씨가 차가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의 푸름을 안다는 말과 같이 견인겸양을 함께 권한다.

심사위원 : 도종환·박주택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