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풍경에 놀다 / 송지은


하나의 풍경을 읽었다 찬 냉기의 한쪽 모퉁이부터 뜯어내는 봄비의 가느다란 손놀림에 어디서부터가 시작인지 모르는 비 맞은 고양이 울음에

가슴 안에서 빗방울처럼 또박또박 싹이 돋아나는 걸 무심히 들여다보다가 또 다른 카드로 얼굴을 바꾸는 계절의 어디쯤에서

하나의 풍경에 빠졌다 내 몸까지 다 내어주고 버려진 사마귀의 심장을 법당을 급하게 빠져나오다 문살에 찍힌 구름의 숨소리를

발뒤꿈치 갈라진 틈으로 새어나오는 겨울의 쓸쓸한 문장으로 읽다가 바람이 긴 바퀴를 돌리며 어둠을 몰아가는 산 어디쯤에서

하나의 풍경이 되었다 고요는 소란을 낳느라 고요를 주저앉히고 버릴 수 없는 것들은 끝내 다른 풍경으로 일어서는데

죽은 쥐에서 구더기가 기어 나오는 것을 엿보다가 문득 나도 그 삶의 연속무늬 쪽으로 줄을 섰다

교회의 철탑이 모텔 건물에 지그시 그림자를 얹듯이 달이 제 몸을 지우며 죽음이 낳는 새로운 시간을 보여주듯이 풍경이 내 배경이었으므로 나도 풍경의 배경으로 지기로 했다 너에게





[당선소감] "시가 되지 않는 시의 함정"


언젠가 TV에서 방영된 물병아리 가족이 살아남는 법을 본 적이 있다. 마른 연못에서 더 큰 보금자리를 찾아 헤매는 길은 위험의 연속이었다. 자동차가 다니는 넓은 도로를 지나야 하고 들개에게 쫓기는 모습을 불안한 마음으로 보았다.

하지만 어미는 달랐다. 앞서가다 뒤돌아서서 새끼들을 기다리고 또 앞서가다 멈추길 반복했다. 도로를 건너고 수로를 건너고 마침내 큰 저수지를 찾아가는 것이다. 어미는 어서 와라, 이리 오라고 재촉하거나 잔소리를 하지 않았다. 앞서가서 말없이 지켜보고 기다릴 뿐.

내게는 시가 그러했다. 어미처럼 묵묵히 기다리다 위안의 눈길을 건네주는 존재였다. 그것은 고통이면서 아픈 부분을 치유해주는 내 삶의 진통제였다. 하지만 그 문턱은 호락호락하지 않아 시가 되지 않는 시의 함정에서 오래 머물렀다. 지금도 그 함정에서 벗어났는지 알 수 없으나 건조한 겨울에 눈이 있듯이 먹빛 가슴에 가끔은 초록으로 퍼지는 파장을 볼 수 있다.

겨울 하늘은 차고 푸르다. 추위를 잘 견디지 못해도 혹독하게 날을 세우는 이 계절이 나에겐 희망이었다. 앞으로도 그렇게 존재하리라 믿으며 함께 글공부했던 동기들이 내 이름을 잊어버리기 전에 다시 부를 수 있게 해주신 심사위원 선생님과 한라일보사에 고마운 마음 올린다. 글의 바다에 밀어 넣어주신 은사님들. 나보다 더 크게 기뻐하는 형제와 친구에게도 느낌표가 되는 시로 보답하고 싶다.

아직도 내 삶에 풍경이 되어 주시는 팔순의 어머니, 이제는 지하에서 둥근 웃음만 보이는 아버지께 술 한 잔 올려야겠다.

▷1964년 충남 금산 출생 ▷서울문화예술대학 방송문예학과 졸업




[심사평] 허상문 문학평론가 "미적 형상화 시도 탁월" 


신춘문예란 말 그대로 한 겨울의 눈보라와 삭풍을 견뎌내고 새봄에 피어나는 꽃과 같이 가장 찬란하면서도 권위 있는 등단의 관문이다. 따라서 신춘문예를 통해서 등단하는 작가에게는 지난겨울을 힘들게 이겨낸 치열함, 새봄에 태어나는 참신성, 앞으로 멀고도 힘든 길을 나아가야 할 가능성이 동시에 요구된다.

지역의 신문임에도 불구하고 오랜 전통을 가진 한라일보 신춘문예에는 그 이름에 걸맞게 올해 1100여 편의 작품이 시 분야에 응모했다. 그러나 많은 작품들이 일상의 현실에 숨겨진 대상을 치밀한 묘사력과 참신한 비유로 표현해내거나, 인간과 세상의 모습을 개성 있는 언어로 변주해내는 시적 능력이 부족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지은의 '풍경에 놀다', 송재선의 '발로 읽히는 유서'를 만난 것은 커다란 수확이었다. '풍경에 놀다'는 현실의 삶을 '풍경'의 모습으로 역동적으로 끌어당기거나 체감하여 미적으로 형상화하려는 시도가 탁월했다.

시를 이끌어가는 새로운 방식의 감수성과 화법도 두드러졌다. '발로 읽히는 유서'는 삶에 대한 깊은 사유와 고뇌의 흔적이 담겨 있어서 작품을 읽는 동안 계속 무엇인가를 생각하게 만드는 시다. 하지만 한 편의 시에 너무 많은 내용을 담고자 하고 다소간에 사변적이어서 주제의식이 산만해졌다. 두 작품을 두고 오랫동안 고심을 거듭했으나 앞서 이야기한 바와 같은 신춘문예의 의의에 더욱 어울리는 작품으로 송지은의'풍경에 놀다'를 당선작으로 선정했다.

송미선의 '꼬리연', 남상진의 '섬', 조성필의 '물허벅'과 같은 작품들도 또 다른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앞으로 더욱 정진을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