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벽과 담의 차이 / 봉윤숙

 

우리의 이야기는 지붕 속에서 산다

지붕을 가지고 있는 벽과 지붕이 없는 담 안엔

사슴벌레 달팽이 사금파리 장지뱀 등 여러 종류가 산다

벽은 못, 시렁 아버지의 맥고모자

달력의 날짜로 불리기도 한다

드나들거나 넘을 수 있는 높이의 담은

그림자와 낙서의 한 영역이다

벽은 문 없는 간극과 문의 사고가 가끔 어긋나기도 하지만

옷들은 그 사이에서 잘 기대어 무늬를 새긴다

담을 넘어간 소리는 키 큰 소문이 되고

담 밖에 있던 사람이 훗날

벽의 못에 걸리기도 한다

담은 올록볼록한 퍼즐 같다 퍼즐을 맞추려 틈새의 흐름을 허용한다 그 사이로 번식하고 바람이 드나들며 물길도 흐른다 구멍이 없어 마음, 다만 낙서로 대신하는 일들이 있고 수직의 소문들이 넓다

커다란 순록을 보면 따뜻한 벽이 생각난다

그들은 스스로 진화된 지붕을 가지고 있고

자유롭게 돌아다니는 뿔로 계절은 완성되고 빨강은 절판된다

숲은 담이다

나무들은 지붕이 없으므로 흔들린다

이야기가 없을 때는

흔들리는 것도 한 방법이다




<당선소감>

 

링거액처럼 떨어지던 은유들아 고맙다

 

내가 죽었다. 교통사고였다. 그러나 피 한 방울 보이지 않았다. 눈뜨니 새벽이었다. 다시 태어난 느낌이다.


내 앞의 계절은 시였을까? 귀를 쫑긋거리는 이야기들이 벽과 담을 넘나든다. 나타났다 사라지고 사라졌다 나타나는 끌림의 미학. 아니, 기우뚱거리는 불안. 손끝을 날아올랐다가 살포시 내려앉는 공포. 일어서지 않는 언어를 일으켜 세우려는 즈음 아버지는 벽의 못에 걸려 이제는 이야기가 되셨다.


웃는 얼굴의 아버지가 새삼 그립다. 매만지지 못 한 바람은 무늬를 새길 수 없고 꿰지 못하는 것들이 늘 범람했다.


똑 똑 링거액처럼 떨어지던 은유들아 고맙다.


숭의여대 강형철 선생님, 전기철 선생님 뿌리를 내릴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해주셔서 진심으로 고맙습니다. 은유의 날개를 달아주신 김영남 선생님과 정동진 회원님들 모두 고맙다.


곁에서 함께 해준 신랑과 사랑하는 아들과 딸이 있어 행복한 날들의 연속입니다.

 

경기 부천

숭의여대 문창과 졸업, 중앙대 문예창작 전문가 과정 수료


<심사평>

 

낯선 형식이지만 기본 위에 축조된 시

 

본심에 200편 가까운 응모작이 올라왔다. 최종 논의된 작품에서 `달과 비누'는 이미지 형상화 능력이 뛰어났으나 모호했다. `내 마음 속 국어사전'은 삶과 죽음의 도정에서 학습하는 언어를 국어사전으로 은유한 전개가 돋보였으나 단순 평이가 흠결로 `달과 비누'와는 상반된 흐름을 보였다.


`물고기는 첨벙하는 소리가 귀다'는 참신한 설정과 감각적 이미지 전개가 돋보였으나 응모작의 수준차가 컸다는 점에서 `벽과 담의 차이'를 당선작으로 올린다.


`벽과 담의 차이'는 활달한 수사와 짜임새 있는 전개로 재치가 돋보이는 수작이다. 근사한 시를 넘어 좋은 시는, 낯선 형식이되 의미를 배반하지 않는 시다.


정서적 고양과 정화, 공감 공명이라는 시의 기본 위에 축조된 시다.


신인다운 패기를 잃지 말고 정진 대성하시길 바란다.

 

심사 : 이영춘, 홍성란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