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밀풀 / 고은희

 

1.

밀풀에서 꽃이 폭폭 끓는다. 부풀어 오른 밀풀은 겨울과 여름에 유용하다. 문살에 밀풀을 바라고 창호지를 바르고 무성한 숨을 바른다. 덩달아 지붕 위로 하얗고 얇은 첫눈이 내린다.


귓볼이 떨어져나간 단풍잎 몇 개가 붓살이 쓸고 간 거친 자리에 폴짝 내려앉는다. 겨울 문틈에서 말이 달리고 창호지 마르는 소리가 소복소복 들린다. 그러니까 문풍지는 밀풀이 모른척한 날개, 열렸다 닫히는 문이 구수한 밀풀냄새를 풍기며 날아다닌다.


2.

김치는 꽃이다. 사이사이 익어가는 배추김치뿐만 아니라 한여름 열무김치를 들여다보면 온갖 색이 다 들어 있다. 푹 절인 열무에 홍고추를 썰어 넣고 푸른 실파를 뭉텅뭉텅, 마지막에 흰 밀풀을 넣어 섞어 피는 꽃.


밀품이 돌아다니는 동안, 풋내라는 밀줄에 문풍지가 달려 나온다. 꽃이 피려고 사각사각 감칠맛이 날 때, 한데 섞이고 어우러져 동지섣달 한겨울을 불러낸다. 밍밍한 국물에서 팽팽한 문풍지 맛이 나게 하는 것, 밀풀이 꽃을 피우는 방법이다.


3.

살짝만 뜨거워져도 엉겨 붙는 밀풀의 힘, 배가 고프지 않은데도 배 아픈 때가 있다. 잘 풀어줘야 잘 붙는 힘, 풀 죽은 열무가 밀풀을 만나 아삭아삭 기운을 차리듯 김치도 한겨울 문도 밀풀의 요기로 견딘다.


창호지 문에 구멍하나 뚫린 듯

열무김치국물은 앙큼한 맛이다.




  <당선소감>


   “구순 아버지 칭찬처럼 ‘장한 시’ 쓰고 싶어”

  소실점 끝 불안감 걷어준 낭보 시 곁에 두고 끝까지 견뎌갈 것


  당선통보를 받았다. 동시에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아버지에게 전화를 했다. 구순을 향해 구부러진 목소리가 전화기 저편에서 카랑카랑 들려왔다. 오래전 <농민신문>을 애독하셨던, 농부인 아버지가 짧게 한마디 하셨다.

  “장하다!”

  장한 시를 쓰고 싶다. 아주 골똘하게 장한 궁리를 해보지만 장한 시 쓰기는 언제나 불안하다. 뻔히 보이는 가설을 붙들고 한밤을 보낸다. 애착이란 사랑하는 사람의 유품 같은 것, 나는 시를 애착한다. 내 허물을 간단하게 들키는 때가 허다하지만 시를 곁에 두고 끝까지 견디겠다. 새벽과 어둠을 함께 겪은 남편과 평생 팔 걷을 준비가 되어 있는 정화, 준혁, 준호에게 사랑을 전한다.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전문가과정으로 인연을 맺은 조재학, 백성, 노수옥, 김순자, 이수니, 김영한, 이인, 강스텔라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매달 만나 합평하고 수다 떠는 일은 그 무엇에도 견줄 수 없는 즐거움이다.  

  소실점 끝에 몰려 있던 불안을 순식간에 걷어내주신 심사위원님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감정의 진폭이 잔뜩 묻어 있는 맨발의 체온이 따뜻해진다.

특효약 같은 시의 세상을 꿈꾼다.


  ● 1967년 전남 무안 출생.

  ● 현 방송작가(KBS ‘6시 내고향’ 등).

  ●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전문가과정 수료.

 

  <심사평>


  밀풀, 고전적이고 담백한 작품…감칠맛 나는 언어 돋보여

  ‘잘 풀어줘야 잘 붙는 힘’ 발휘…‘앙큼한 맛’ 담긴 시 써주길


  모두 276명의 응모자 중 예심을 통과한 20명의 작품을 받았다. 20명의 작품은 공정성을 기하기 위해 접수번호 외에는 아무런 정보도 없는 임시 묶음 책 형태였다. 다산 선생이 ‘문장은 사람의 꽃이다’라고 했던가. 꽃밭에서 단점을 찾아보려고 며칠 혼났다. 다들 나름 빛났다.

  두 심사위원은 각자 다섯편을 추려 최종 합평회서 만났다. 세편이 일치했고 다른 두편도 눈여겨봤던 작품이라는 점에서 미소를 나눌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남은 작품은 ‘대설주의보’ ‘달팽이’ ‘밀풀’ ‘만가’ ‘해당화’였다.

  시대의 아픔을 노래한 ‘만가’는 동봉한 다른 작품에서 설명적인 시 구절이 더러 드러나, ‘꽃잎을 까보면 충혈된 눈동자’ 같은 감각적인 이미지가 살아 있는 ‘해당화’는 앞부분의 긴 나열이 긴장감을 떨어뜨리고 있어, 먼저 미련을 접었다.

  남은 세편을 올려놓고 한편을 결정하려고 하자, 단점은 가려지고 장점들만 부각됐다. ‘대설주의보’는 언어의 절제미를 보여준 산뜻하고 정갈한 작품이었으나 당선작으로 선하기에는 좀 소품이 아닌가 싶어 망설여졌다. 마지막까지 남은 ‘달팽이’는 함께 응모한 작품들 전체가 고른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더 애착이 갔다. 공사장 절벽에 매달린 노동자와 달팽이가 자연스럽게 연결되며 노동자의 삶을 잘 그려내고 있으나 과연 이 시가 새로운가를 문제 삼아 볼 수밖에 없었다.

  당선작으로 결정한 ‘밀풀’은 고전적이고 담백한 작품이다. 작품을 형상화하는 능력과 언어를 감칠맛 나게 다루는 솜씨를 높이 봤다. 앞으로 ‘잘 풀어줘야 잘 붙는 힘’을 언어의 세계에서도 발휘해 ‘앙큼한 맛’ 나는 시 많이 써주길 바란다. 당선자를 축하하며 당선을 잠시 미뤘을 뿐인 응모자님들에게도 위로의 말을 전한다.

 

심사위원 : 곽재구, 함민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