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숭어 / 임희진

 

풀잎 같은 친구가 있어.

망아지 같이 뛰놀다 쳐다보면,

풀같이 앉아 책 읽던 시들한 놈

하루는, 표를 한 장 내미는 거야

연극을 한다나!

돌이나 나무겠지 하면서도

그 놈이니까 보러 갔어

근데 딴 놈인 거야

눈빛이 다른 거야

팔딱거리는 거야

풀이 아니라,

숭어였어

어떻게 풀밭에서 살았을까?

물속에 냅다

던져줘야 할 것 같았어.




  <당선소감>


   “아이들이 제 동시를 부르는 날까지…”


  정말 기쁘고, 감사합니다. 재주가 한참 부족한데, 상을 타게 되어 믿기지가 않습니다. 신춘문예 당선은 뜻밖의 소식이지만, 제가 정말 간절히 바라던 일이기도 했습니다.

  나에게 재능이 있는가를 늘 고민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시에 동심을 담아낸다는 것이 참 어려웠습니다. 아직 갈 길이 멀어서인지 시 한 편을 지으면 아주 여러 날을 묵혀야만 했습니다. 처음엔 고칠 부분이 잘 보이지 않더라구요. 시간이 지나야 조금 더 냉정해졌습니다. 그렇게 묵혔다 고치고, 다시 묵혔다 고치면서 조금씩 더 독자에게 다가가게 되는 것 같습니다. 저 혼자만 좋아하는 동시를 쓰지 않기 위해 노력 중입니다.

  일단 심사위원님들께서 가능성을 봐 주셨다는 점에서 기쁩니다. 동시에 남다른 안목과 애정을 가진 분들께 인정을 받았다니, 잠이 안 왔어요. 이틀 동안 각성 상태였습니다. 눈을 감아도 정신은 말짱하게 깨어 있었어요. 어린이 문학의 미래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분들이 뽑아주셨으니, 훗날에는 많은 아이들이 제 동시를 좋아해 주게 될 것 같은 희망이 생기네요.

  요즘 동시에 음을 붙여 만든 동요들이 나오더군요. 참 좋았어요. 동심이 들어 있어서 천진하고 솔직해서 마음에 오래 남았습니다. 요즘 아이들은 가요를 부르잖아요. 어색한 일이란 생각이 들어요. 가요보다는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좋은 동요를 부르면 좋겠습니다. 많은 아이들이 동시를 외우고, 부를 수 있으면 하고 바랍니다. 그래서 제 꿈이 동시의 주요 독자인 아이들 마음에 드는 동시를 쓰는 것입니다.

  부족한 제 동시를 당선작으로 뽑아주신 송찬호, 이안 심사위원님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 습작하는 동안, 애정을 갖고 습작 시를 읽어 준 친구들에게도 정말 감사합니다. 잘 된 글도 읽기 힘든데, 기본이 흐린 제 동시를 많이도 읽어달라고 부탁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인내심이 별로 없는데, 읽어 주는 친구들이 있었기에 계속 쓸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좋은 글을 쓰는 사람 되라고 늘 응원하고 격려해 준 우리 가족들에게 깊은 사랑과 감사를 드립니다. 이제 동시로 한 걸음 내디뎠습니다. 앞으로 멈추지 않고 이 길을 성심을 다해 걷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 1977년 인천 출생.

  ● 학원 강사.


 

  <심사평>


  “일상의 시들함에서 빛나는 시를 찾을 때”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시 부문 응모 편수가 올해부터 세 편에서 다섯 편으로 늘었다. 지난해보다 심사의 볼륨감이 좀 더 도톰하다고 느낀 건 단지 편수가 늘어서만은 아니다.


  응모 작품의 질 또한 고르게 도약해서다. 무엇보다 시단의 시인들이 응모한 동시가 대폭 늘었다. 시적으로 숙련된 시인들의 동시 쓰기는 최근 몇 년 간 이어져온 추세이지만 수그러들기보다 점점 더 왕성해지는 모양새다. 다채로운 시도와 모험이 계속되리란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 아닌 게 아니라 동시의 시적 표현술이 나아지고 다채로워졌다. 그러나 ‘동(童)’에 견고하게 결속되지 못한 시적 표현술은 사상누각의 신세를 면키 어렵다. 엄살이나 청승을 떨지 않고 감상이나 과장에 빠지지 않으며, 포즈와 군말을 최대한 덜어낸 시의 정수가 동시이므로.


  본심에 올린 여섯 분은 각기 다른 장점을 갖고 있었다. 김남지 씨의 ‘포도밭 현장학습’은 사랑스럽고 매끈한 작품이다. 흠이라면 아귀가 너무 빤하게 들어맞았다고 할까. 동봉한 작품들도 일정한 수준에 올라 있어 미더웠다. 김용우 씨의 ‘따라와’ 외 4편은 시적 재치로 반짝인다. 시가 깃든 곳을 동심으로 잘 감싸 표현할 줄 아는 강점을 지녔다. 사람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 또한 얕지 않고, 따스하다. 전반적으로 고르고 좋았지만 어느 한 편을 당선작으로 앞세우기는 쉽지 않았다.


  안지유 씨의 ‘배꼽’ 외 4편에는 말의 꼬임새가 주는 독특한 맛이 있다. 잘 익은 능청스러움이 동심의 어떤 부분과 통할 것도 같다. ‘파리’는 범상한 듯하지만 깊은 곳에 닿아 있다. ‘지구를 운전하는 엄마’에선 독특하게 그려낸 새봄 냄새가 맡아진다. 다만 신춘문예의 격에 어울리지 않는 유명 시인의 투고여서 아쉬웠다. 최슬 씨의 ‘사과별’ 외 4편은 동시보다 시에 가깝다. 동시의 1차 독자인 어린이에게 어떻게 다가갈 것인지 좀 더 고민하고 연습하는 가운데 자기만의 개성적인 동시 세계를 찾아내 보여주면 좋겠다. 홍이지민 씨의 ‘나뭇잎 침낭’ 외 4편은 평범함 속에 빛나는 지점이 간직되어 있다. ‘밑’이나 ‘좁은 집’, ‘야구 글러브 생각’에선 가능성이 엿보이지만 아직은 좀 더 많은 습작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최종적으로, ‘숭어’ 외 4편을 응모한 임희진 씨를 당선자로 결정하였다. 당선작 ‘숭어’는 평소 식물처럼 순하게만 보이던 친구에게서 팔딱거리는 숭어의 동물성을 목격했을 때의 놀람을 매우 속도감 있는 입말로 짧게 끊어 쳐나간 작품이다. 마치 일상의 시들함에서 빛나는 시를 찾아냈을 때처럼, 그 발견의 쾌감이 싱그러운 말투에 제대로 실렸다. 동봉한 작품 역시 이웃과 가족에 대한 따뜻한 시선과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어서 시의 바탕인 시인에게도 믿음이 간다. 부단히 정진하여 개성적인 동시 세계를 펼쳐 보이는 큰 시인으로 성장하기 바란다. 

 

심사위원 : 송찬호, 이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