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봄날 / 문나원

아침 열시, 여자는 '주름'하고 입속으로 뇌까린다
블라인드로 스며든 몇 장 햇살이 일렁임조차 없이 마룻바닥에 고인다
여자의 삶은 곧 삶은 빨래처럼 표백되곤 한다
주름 팽팽하게 당겨 올라가 집게에 집힌 채 집게발을 들곤 한다
세 아이를 키우며 꼭두서니처럼 잘게 썰린 여자는 더 이상, 흘러내리지 않는다
여자는 이제 너무 많이 읽힌 문장이어서 시들 수도 없다

청소기 안 먼지들이 머리끄덩이를 잡고 실뱀처럼 엉긴다
부엌에서, 여자는 알약을 삼킨다
"이것 좀 봐!"
아이가 유리병을 흔든다
병속의 벌이 붕붕거린다
쓰레기통 옆 죽어가는 생쥐 위로
우울증 환자의 머리에 덧씌워진 비닐봉지 같은 햇살이 고인다

값싼 비닐처럼 추억은 야윈다
여자를 잘 따르던 비숑 프리제는 이유 없이 밥을 굶기 시작하더니 보름도 채 안되어 죽었다
남편의 사업은 말린 고사리처럼 불어나고 아이들은 옥수수처럼 자란다
비교적 순조로운 날들이다, 여자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단단했던 어제의 눈망울들은 어디서 물기를 버렸는가

그러나 저 살찐 햇살은 그늘의 혈연이다, 햇살은 그늘을 살찌운다
여자는 다시금 뇌까린다, 그나마 다행스런 날들이지 않은가
병속의 벌처럼 숨이 조금씩 차오르는 것만 빼면,


  <당선소감>

   "-"



  내 안에 핀 꽃을 도려내었다. 내 것이면서 결코 내 것일 수 없는 것, 하지만 내 것일 수밖에 없는 것들이 부르는 노래를 들었다. 내가 사랑하는 것들은 왜 모두 상처 입은 것들일까. 진물을 흘리고 있을까.
  자신의 이야기를 책으로 엮어달라던 어머니가 몹시 그리운 날이다. 술이 다 깨도록 새벽까지 창(唱)을 하시던 아버지도 그립다. 두 분의 한(恨)과 쓸쓸한 낭만이 나에게 시를 쓰도록 종용하였다.
  내가 버린 것들과 나를 버린 것들, 그 불가피한 사이의 간극을 시로 쓰고 싶다.
  이름 잃은 것들과 이름 없는 것들에 이름을 붙여주고 싶다.
  수술 후 회복 중에 당선소식을 들었다.
  부족한 시를 뽑아주신 심사위원 선생님들과 격려하고 지도해주신 여러 선생님들께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오늘 아침 시를 쓴 사람만이 시인'이라고 하신 장옥관 선생님의 말씀을 가슴에 새긴다. 축하해준 가족과 지인들께 고마움을 전한다.

  ● -


  <심사평>

  "여성 특유의 현실 감각에 주목

  예심을 통과한 30분의 작품을 읽고 모두 여섯 분의 응모작을 다시 가려 뽑았다. '아빠가 돌아온다' 외 3편, '우리는 바다를 떠도는 노숙자들' 외 4편, '동학사' 외 4편, '거짓말 공책' 외 2편, '연습을 훔쳐보다' 외 4편, '괜찮은 날' 외 3편이 그 작품들이다. 경쾌한 상상력과 낯선 이미지들, 언어의 숙련도가 눈에 띄었다는 사실을 먼저 밝혀 둔다. 작품들을 다시 검토한 후 우리는 이 후보작들 중 '연습을 훔쳐보다'와 '봄날'에 주목했다. '연습을 훔쳐보다'를 투고한 분의 언어 솜씨는 매우 우수하다. 명확한 시적 결말은 언어의 힘을 충분히 드러내 준다. 그러나 언어적 재기에 치여서 통제력을 잃는 게 흠이다. "꽃잎 하나하나 빼며 허무는 허무虛無/요 며칠 허물어진 발자국들"과 같은 표현이 그렇다. '봄날'을 응모한 분의 작품들에는 전체적으로 일관된 주제와 시선의 힘이 있다. 여성 특유의 섬세한 주제의식이 그것이다. 이 특징은 여성들이 현재 갖고 있을 여러 각별한 현실의 양상들로부터 나오는 것일텐데, 이에 대한 응모자의 인식도 뚜렷하다. "여자는 이제 너무 많이 읽힌 문장이어서"라는 구절은 상투적인 것인데 이 구절을 "시들 수도 없다"라는 표현으로 이어서 새롭게 반전시키는 능력 또한 주목할 만하다. 본심위원들은 이 작품과 함께 투고된 다른 작품들의 일정한 수준을 고려하여 '봄날'을 올해의 당선작으로 결정하였다. 아깝게 낙선한 분들에게는 격려의 말씀을 보내면서 새 시인의 탄생을 축하한다.

심사위원 : 김명인, 박수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