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경상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단짝 / 유춘상
<당선작>
단짝 / 유춘상
해가 지면 너는 밝아진다
안심가로등
네 아래로 다가가면
나는 줄어드네
가까이 다가갈수록 내 몸이 차츰차츰 작아지는 걸
넌 높고, 난 네 그림자니까
네 키가 클수록 내 몸은
땅바닥에 딱 붙어 쪼그라지지
우린 친구일까?
네가 서 있고 내가 멀어져 보면
나는 또 약해지네
희미해지네
멀어져서 옅어지는 나
괜찮아,
한번 불러준다면
네가 급할 때 날 부르면 난 곧 딴딴한 근육질로,
내가 화나면 큰일 날 걸(영화 ‘헐크’의 대사 중에서), 하며 헐레벌떡
도우러 갈 테니까
항상 지켜보고 있는 우리가 곧 단짝이지
서로 지켜주자고, 친구
<당선소감>
글로써 닫힌 생각과 굳은 마음 허물고 싶어
겨울 날씨만큼이나 세상이 을씨년스럽다. 신문과 방송에선 연일 탄핵 뉴스를 쏟아내고, 상상하기 힘든 일들이 바로 눈앞에서 펼쳐지고 있다. 폭풍 속에서처럼 글 쓰는 일이 자잘하고 막막하게 느껴지는 날의 오후, 동시 당선 소식이 날아들었다. “아~ 네.” 대답을 하고 나서도 실감이 나지 않았다.
나는 진술의 힘을 믿는 편이다. 작은 말과 낮은 말, 젖은 말의 힘을 믿는다. 단순하고 미숙해 보이는 말, 그런 말들에서 나오는 힘을 믿고 동심의 세계에 가까이 다가가 보고자 한다. 말로써 시간의 빗장을 풀고, 글로써 공간의 벽을 무너뜨리고 싶다. 너와 나의 경계도 풀어버리고, 닫힌 생각과 굳은 마음도 조금씩 허물어뜨리고 싶다. 그래서 삐걱삐걱 시소를 타는 언어, 미끄럼틀에서 굴러 내리는 언어, 그네를 타고 날아가 버리는 언어, 개똥지빠귀 날개에 숨어 노닥거리는 언어, 그런 언어들과 같이 놀고 싶은 마음이다. 막막한 바다 가운데 한 줄기 빛으로 ‘단짝’에 눈길 던져주신 심사위원들께 깊이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 늘 곁에서 참고 헌신해 주시는 가족들, 함께 활동하고 있는 시그마 선생님들, 그리고 뒤에서 지긋이 힘이 되어주는 분들께 고맙다는 말씀 올린다.
● 경북 영천 출생, 영남대 국어교육과 졸업
● 2022년 제10회 평택 생태시문학상 대상
● 2022년 제9회 경북일보 객주문학대전 대상
● 현 경주예일고등학교 교사 재직 중
<심사평>
평범한 주제를 詩로 풀어내 연마 돋보여
예심 통과 작품, 20명의 동시 71편을 본심 심사자료로 받았다. 엄정한 예심을 거친 작품들이라 일정의 수준은 지니고 있었지만, 그런 만큼 확 다가오는 작품이 없어 심사의 어려움이 있었다.
심사숙고하여 ‘단짝’을 당선작으로 뽑았다. 그림자라는 다소 평범한 주제를 단짝의 친구로 풀어내는 시를 연마하는 솜씨가 차별되고 돋보였다. 응모한 3편의 다른 작품들도 고른 수준이었기에 안심하고 밀 수 있었다. 그중 ‘그믐’을 옆에 두고 저울질 했음을 밝힌다.
71편 동시를 읽으며 동시의 호흡과 시가 지니는 서사에 관심을 갖고 작품에 임했으면하는 아쉬움이 있었다. 반구대 암각화는 지역적인 관심을 받아 소재가 되었지만, 새로운 소재 찾기, 시상의 조화로운 표현은 앞으로도 동시쓰기의 과제이기도 하다. 평범한 일상의 일부를 소재로 찾아 새롭게 시를 생성하여 동시의 첫 번의 독자인 어린이에게 펼치기에는 우리 어린이의 걸음은 너무 앞서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 무엇보다 ‘동시 쓰기’가 만만치 않은 작업임을 느낄 때, 시는 변화되고 시에 한 걸음 더 다가가는 일이 될 것이다.
심사위원 : 정두리
<AI와 함께하는 작품 분석>
작품 개요: 유춘상의 동시 "단짝"은 안심가로등과 그림자의 관계를 통해 진정한 우정의 의미를 섬세하게 그려낸 작품입니다. 일상적 현상을 통해 우정의 본질을 발견하는 시적 상상력이 돋보입니다.
형식적 분석:
1. 구조적 특징
- 자유로운 연 구성으로 자연스러운 흐름 형성
- 대화체와 독백의 조화로운 활용
- 여백을 통한 의미의 확장과 강조
2. 언어적 특징
- 평이하고 친근한 일상어 사용
- "~네", "~니까"와 같은 구어체 활용
- 영화 대사 인용을 통한 재치있는 표현
내용적 분석:
1. 시적 상황
- 해가 지고 가로등이 밝아지는 일상적 순간
- 가로등과 그림자의 상호작용
- 거리에 따른 그림자의 변화
2. 이미지와 상징
- 안심가로등: 든든한 친구의 상징
- 그림자: 의존적이면서도 필수적인 존재
- 빛과 어둠: 상호보완적 관계성
3. 정서적 흐름
- 불안과 안심의 교차
- 의존과 자립 사이의 고민
- 우정에 대한 확신으로의 발전
주제 의식:
1. 핵심 주제
- 진정한 우정의 의미
- 상호의존적 관계의 가치
-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성숙한 태도
2. 교육적 가치
- 우정의 본질에 대한 이해 촉진
- 배려와 존중의 태도 함양
- 협력의 중요성 인식
종합적 의의:
1. 문학적 가치
- 일상적 현상의 시적 승화
- 동심의 순수성과 깊이 있는 통찰의 조화
- 상징과 비유를 통한 의미의 확장
2. 교육적 함의
- 어린이들의 정서 발달 도모
- 긍정적 관계 형성의 모델 제시
- 상호 존중과 배려의 실천 방향 제시
3. 사회적 의미
- 현대 사회에서 우정의 가치 재발견
- 개인주의 시대의 관계 회복 제안
- 공동체적 가치의 실현 가능성 제시
이 작품은 가로등과 그림자라는 친근한 소재를 통해 우정의 본질을 아름답게 표현하며, 어린이들에게 관계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교육적 가치를 지닙니다. 특히 서로 다른 존재가 어떻게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보여줌으로써, 현대 사회에 필요한 관계의 지혜를 전달합니다.
'좋은 글 > 동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강원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고양이의 부활 / 포공영 (0) | 2025.02.15 |
---|---|
[2024 경상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당선작 없음 (0) | 2025.02.06 |
[2024 강원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페이스 페인팅 / 장은선 (0) | 2025.02.06 |
[2024 매일신문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빅뱅 / 김영욱 (1) | 2024.01.07 |
[2024 조선일보 신춘문예 동시 당선작] 민들레 꽃씨와 아이 / 조수옥 (1) | 2024.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