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키워드 / 최은묵


죽은 우물을 건져냈다

우물을 뒤집어 살을 바르는 동안 부식되지 않은 갈까마귀떼가 땅으로 내려왔다

두레박으로 소문을 나눠 마신 자들이 전염병에 걸린 거목의 마을

레드우드 꼭대기로 안개가 핀다, 안개는 흰개미가 밤새 그린 지하의 지도

아이를 안은 채 굳은 여자의 왼발이 길의 끝이었다

끊긴 길마다 우물이 피어났다, 여자의 눈물을 성수라 믿는 사람들이 물통을 든 채 말라가고 있었다

잎 떨어진 계절마다 배설을 끝낸 평면들이 지하를 채워나갔다

부풀지 못한 뼈들을 눕혀 물길을 만들면 사람들의 발목에도 실뿌리가 자랄까

안개가 사라진다 흰개미가 우물 입구를 닫을 시간이다

우물은 떠나지 못한 자의 피부다



<당선소감>

 

누군가에겐 위로가 되는 떳떳한 시를 쓰다

 

  창고에 수북한 원고들, 창고 벽마다 겨울이 두텁다. 내부에서 쌓은 벽을 허물었으나 외부에서 생긴 벽은 도무지 재질을 알 수 없다.그때마다 나는 깃을 손질하듯 시를 어루만진다.

  글자에게도 혼이 있어 누군가는 위로가 되고 치유가 될 것이라 믿는다. 공대를 졸업했고, 흔한 문학회 한 곳 가입하지 않았으니, ‘삼겹살이라고 불리는 학연, 지연, 혈연 이 세 가지와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그것이 오히려 나의 비기(?). 고등학교 때 받은 숙제를 뒤늦게 서울신문에 제출했다. 늦은 숙제를 검사해 주신 정호승, 나희덕 두 분 선생님께 감사를 드린다. 반짝이는 표면에는 허상이 있다. 질소가 가득한 것은 과자뿐만이 아니다. 소망 하나 있다면, ‘삼겹살과 상관없이 좋은 작품을 쓰는 시인들이 시만 써도 먹고살 수 있으면 참 좋겠다. 내세울 것 없는 삶이지만 시 하나만큼은 떳떳하다.

 

1967년 대전 출생 충남대 기계설계공학 전공 현 소속 M2-9

 

<심사평>

 

죽음의 사건을 환기하며 시대의 음화 그려내

 

  사회 전체가 죽음의 사건들에 침잠된 탓인지 올해 투고작들은 전반적으로 어둡고 무거운 느낌이었다. 몽환적이고 묵시록적인 분위기가 감도는 작품들도 많았다.

 

  이 죽음의 시대에 시는 현실적인 응전이나 전망을 보여주기보다는 그 내상(內傷)을 깊이 앓으며 치러내는 제의적 행위에 가까운 것일까. 그러나 이런 현상이 한편으로는 죽음 앞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다는 무력감이나 패배의식의 반영으로 보이기도 한다.

 

  당선작인 최은묵의 키워드 역시 죽은 우물을 중심으로 우리 시대의 음화(陰畵)를 그려내고 있다. 이미지가 지나치게 모호해서 소통이 쉽지 않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고도의 암시성은 시에 있어서 결함보다는 장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 시는 세월호를 비롯해 죽음의 사건들을 환기하면서 그것을 상징화된 제의로 감싸안는다. 나머지 시들에서도 어딘가 깨지고 부서지고 불구화되고 불모화된 존재들이 그려내는 고통과 폐허의 풍경은 하나의 세계를 이루었다고 할 만하다.

 

  당선작과 함께 마지막까지 고민했던 작품은 서진배의 고립한다였다. 이 시는 고립에 대한 사유를 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밀고나가 개성적인 존재론에 이르고 있는데, 특히 고립되다의 수동성을 고립하다의 능동성으로 전환해내는 인식의 힘이 좋았다. 하지만 산문적인 어투나 언어의 긴장을 잃어버린 대목들이 눈에 띄고 나머지 작품의 밀도가 뒷받침되지 못했다.

 

  이 밖에도 유니크한 발상과 탄력적인 리듬을 보여준 김창훈의 스핑크스의 그림자’, 대상의 기미를 섬세하게 알아차리고 그것을 감각적으로 잘 풀어낸 이정오의 멀다 등도 좋게 읽었다. 당선자에게는 진심 어린 축하를, 나머지 세 분에게는 격려와 기대의 마음을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