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당선작>

  양파꽃 지폐 / 이선주

무안군 성동리 170번지 임금례 할머니 집에 불이 났다
할아버지 돌아가신 후 양파밭일 온품 반품 바꾸어 모은 팔십오만 원
빳빳한 저고리 은빛 테두리 두른 단아한 신사임당 한 장씩 장판 밑에 깔아 놓고 늘어진 난닝구 고부라진 등골 부리고 누워도 손주들 학원비도 대주고 용돈도 쥐어 주며 율곡선생을 빌어주는 순간은 알싸한 파스 몇 장이면 무릎뼈 엉치뼈까지 다 시원해지는 것 같아 내일 또 어느 밭으로 갈까 노곤달근한 꿈이 깡그리 타버렸다
아침에 나가면서 끓여 먹었던 누룽지 양은냄비 불 끄는 걸 깜빡 잊어버렸던 탓이었다
흙 속에 거꾸로 머릴 박고 살아도 하늘 딛고 땅 속으로 알알차게 살찌우던 양파돈 생각에 연기 자욱한 집으로 뛰어 들어가 장판 먼저 걷어보고 까맣게 타버린 지폐를 발견하고는 기가 막히게 서럽고 허전하던 밤 마을회관에서 잠을 자야 했는데 동네 노인들 하나씩 하나씩 찾아와 성님 잊어부러야제 어쩌겠소 하며 주머니에서 꼬깃꼬깃 양파 냄새나는 사임당 몇 잎씩 꺼내 쥐어 주고는 엉거주춤 펴지지도 않는 다릴 끌고 흰 달빛 속을 걸어 돌아가더라는 밤새 그러고선 다음날 또 새벽같이 날품 가는 경운기에 동글동글 모여 앉았더라는 흙먼지 날리는 길가에 하얀 양파꽃도 무리무리 환하게 피었더라는


  <당선소감>

   "'무엇'을 쓰기 위해 관성처럼 다시 일어나기 반복"



  오랜 시간 문학을 앓으며 열망은 자꾸만 박제되어가고 현실은 단호했으며 나는 무력했다. 무언가 써보겠다고 끙끙댈 때마다 종이가 사람 키만큼 쌓이도록 습작을 해야 뭐라도 쓸 수 있다는 말을 생각했다. 나는 그 ‘뭐’라도 쓰고 싶었지만 그 ‘무엇’도 쓰지 못하는 자신에 대해 좌절해 자주 넘어졌고 그러다가도 어떤 관성처럼 다시 일어서기를 반복했다. 그사이 깨진 무릎에 앉는 새 살 속으로 세포들이 무한분열 생장과 치유를 반복하며 나를 지탱해왔는지도 모르겠다.

  쇳짐같은 하루 노동이 끝난 밤이면 생선냄새 김치냄새 나는 밥상 위에 원고지를 펴고 돋보기 너머로 국어사전을 찾으며 글을 썼던 그래서 내 키의 반 정도는 미리 쌓아주고 정작 당신은 무명 글쟁이로 가신 엄마 김은행 여사의 이름에 이제야 빛을 달아줄 수 있어 기쁘다. 불혹을 훌쩍 넘어선 제자에게 먼 길 찾아와 이제는 글을 다시 시작해라 용기를 주셨던 명기환 은사님께 특별한 감사를 드리고 싶다. 시를 가르쳐주신 채수영 교수님께는 많은 것을 배웠고 은혜를 입었다. 내 모세혈관처럼 나를 잘 알기에 오래 기다려준 남편과 엄마가 글을 제일 잘 쓴다고 착각하고 있는 세 아이들이 삶의 큰 힘이다.

  당선소식을 전하는 목소리를 행여 보이스피싱이 아닌가 의심했고 계좌번호나 비밀번호를 불러달라는 것이 아닌 걸로 봐서 진짜인가봐 할 때 덜덜 떨리던 손의 전율이 짜릿했다. 기쁘고 또 기쁘다. 당선자들이 하나같이 당선 이후 책임감을 더 느끼게 되었다고 할 때는 잘 몰랐는데 지금은 조금 이해할 것 같다. 부족한 글을 뽑아주신 심사위원들과 머니투데이에 깊은 감사를 드리며 끝없이 발전하는 시인이 되도록 정진하겠다는 약속을 새겨본다.


  <심사평>

  "일반문예에 출품해도 뛰어난 작품…한편의 단편영화 보는 듯

  머니투데이가 우리나라 최초로 경제신춘문예를 시작한 지 15년이 됐다. 초기엔 출품작이 많지 않아 당선 작품도 일반문예와 조금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지금은 경제에 대한 문예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작품의 응모수나 당선작 수준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중략)

  시 부문의 응모작품 양이나 수준은 예년과 비슷했다. 올해는 특히 감각적인 시들이 많아 흥미를 더했다. 종종 예년에 이미 출품해 최종심까지 올랐다가 낙선한 작품으로 계속 도전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른 작품으로 실력을 인정받는 게 더 빠를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최종심에 오른 작품은 ‘양파꽃 지폐’, ‘바다의 옆방’, ‘아침을 갈아타다’, ‘춘자’ 등 4편이었다. ‘춘자’는 상상력이 좋고 시적 구조 또한 탄탄했으나 동반 작품들이 약간의 아쉬움을 남겼다. ‘아침을 갈아타다’는 시는 아주 감각적이고 섬세한 표현들이 눈길을 끌었다. 문장력도 뛰어났으나 주제를 더욱 살려내기 위해 분산보다는 집중이 더 필요해 보여 다음 기회를 보기로 했다. ‘바다의 옆방’은 동해 구룡포항 어느 바닷가 횟집을 운영하는 어머니가 거동을 못 하는 40대 아들을 보살피는 장면을 손님의 눈으로 별 감정 개입 없이 그려내고 있다. 그냥 무덤덤한 표현이 오히려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그러나 작품의 무게감이 당선작으로 하기엔 좀 부족했다.

  마지막으로 ‘양파꽃 지폐’라는 다소 생경한 제목의 시가 남았다. 무안군 성동리 임금례 할머니 집에 불이 났던 것 같은데, 그 할머니의 안타까운 사연과 동네 주민들의 따뜻한 마음이 한편의 단편영화처럼 리얼하고도 짠하게 그려져 있다. 이 내용이 픽션이든 논픽션이든 양파의 알싸한 향 같은 시인의 가슴을 느끼게 하는 작품이었다. ‘다시 갯벌’ 등 동반 작품들도 이 작품을 우수상으로 결정하는데 큰 믿음을 주었다. 입상자들에게 아낌없는 축하를, 그리고 응모하신 모든 분들에게도 더 나은 내일을 위한 분발과 정진을 당부 드린다.

심사위원 : 이순원, 이희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