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노루귀가 피는 곳

최인숙

그래 그래 여기야 여기

신기해하고 신통해하는 것은 뜸이다

안으로 스미는 연기의 수백 개 얼굴이

아픈 곳을 알아서 나긋나긋 더듬는다

그러고 보면 뜸은 어머니의 손을 숨기고 있다

 

뜸과 이웃인 침을 권하는 사람도 있지만

나는 침의 얼굴과 대적한 적 많아

보는 순간 심장부터 놀라 돌아서곤 한다

시간이 좀 걸리겠지만

뜸이 다 사그라지기를 기다리다 보면

어머니도 부엌에서 또 뜸을 뜨고 계셨다

아침저녁 굴뚝으로 하늘 한켠을

 

 

할머니 무덤 여기저기에

노루귀가 피었다

겨울과 봄 사이

가려워 진물 흐르는 대지에

아니 너와 나의 그곳에

누가 아련히 뜸을 뜨고 계시다

 

어느 세상의 기혈이 뚫렸나 하루도 환하다

 

 

<당선소감>


많이 보고 듣고세상을 색다르게 읽어내는 시인 될 터

 

안개가 짙은 날에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 맑은 날인데도 내 안에 무시로 찾아드는 안개의 시간. 이럴 때면 사물들은 제각기 다른 표정으로 내게 말을 걸어오곤 했습니다. 그 말들에 귀 기울이고 견디다가 한없이 절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런 어떤 날은 정말 간절하게 기도한 적도 있습니다.

그 간절함이 이렇게 쉽게 기쁨으로 돌아올 줄 몰랐습니다. 당선 통보 전화를 받고 이게 사실인가 아닌 가 잠시 어리둥절했습니다. 그러다가 너무 좋아서 소리를 질렀습니다.

아직까지 자신감 갖지 못한 제 시를 이렇게 훌쩍 건져 올려주신 심사위원 선생님, 감사합니다. 더불어 경상일보에도 한없이 감사의 인사를 올립니다. 기대에 어긋나지 않는 훌륭한 시인이 될 것임을 약속합니다.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아 여러 분야를 천천히 보고, 듣고, 느끼며 세상을 색다르게 읽어내겠습니다.

문학의 길을 새롭게 열어주신 김영남 선생님, 감사합니다. 그리고 주저할 때마다 큰 힘이 되어준 문우들, 선배님들 고맙습니다. 힘든 작업임에도 곁에서 묵묵히 지켜보아 준 내 가족과 부모님, 그리고 저를 아는 모든 분들과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습니다.

 

 

최인숙 / 1966년 서울출생 / 가톨릭대 사회사업학과 졸 / 중앙대 예술대학원 문예창작 전문가과정 수료

 

<심사평>

 

이질적 형상화로 작가의 시적 내공 고스란히 묻어나

 

응모작품들을 공들여 읽었다. 요즘의 한국시가 지나치게 난삽하면서 그 길이도 길어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곤 하는데, 이번 응모작들도 그런 경향들을 드러내는 작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시인이 지니는 표현 의도는 최적의 언어로 구조화되고 형태화 되지 않으면 안 된다. 표현 의도를 겉으로 드러내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생략과 함축으로 끌어안을 때 견고하게 정제된 시를 만날 것이다.

<노루귀가 피는 곳>을 당선작으로 뽑는다. 이 시의 작자는 작은 풀꽃인 노루귀에서 환기되는 정서를 한방요법의 으로 풀어내고 있다. ‘은 약쑥을 비벼서 인체의 혈 위에 놓고 불을 붙이는 치료행위이다.

연기를 내면서 쑥이 타들어가고 그 기운이 혈을 자극해서 막힌 기를 소통시킨다. ‘노루귀의 식물이미지를 한방치료 요법인 으로 병치시킨 시인의 착상도 새롭지만 아침저녁 굴뚝으로 연기를 피워 올리는 어머니의 노고와 이 피워 올리는 연기를 합일시킨 상상의 능력도 두드러진다.

상호 이질적인 이미저리(‘노루귀’ ‘’)를 연관시킨 시인의 상상력은 이 시의 작자가 상당한 시적 내공을 쌓은 분임을 미루어 알 수 있게 해준다. 같은 시인의 투고 작품 <무지개>도 선연한 이미지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이분의 역량을 뒷받침해주고 있었다.

최종까지 남았던 작품들은 <우포의 달 외 2>, <할머니의 기도 외 3>, <다리가 잘린 소녀에게 외 2> 등이었다.

이분들도 나름대로 시로 말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분들이다. 정제된 시에 이르는 노력들을 계속한다면 좋은 시에 이를 수 있으리라 믿는다.

당선자에게 축하를 보내며 훌륭한 시인으로 우뚝 서 주기를 바란다.

심사위원 : 이건청